오류나면 reboot, ls로 디렉토리가 제대로 되어있는지, 오타가 있는지 확인
그래도 오류면 구글링
linux 기본설정 su-에서 cd후
톰캣 다운로드 과정
yum install unzip
링크 주소 복사 - tomcat다운로드에서 오른쪽클릭 링크 가져오기
http://tomcat.apache.org/
다운로드 tar.gz
압축 풀기
tar xvfz apache-tomcat-8.5.38.tar.gz
파일 이동
mv apache-tomcat-8.5.38 /usr/local/douzone/tomcat8.5
경로 이동
cd /usr/local/douzone
링크 설정 --?
ln -s /usr/local/douzone/tomcat8.5/ /usr/local/douzone/tomcat
vi 에디터 실행
vi /etc/profile
vi에서 i 후
#tomcat
export CATALINA_HOME=/usr/local/douzone/tomcat
추가
톰캣 실행
/usr/local/douzone/tomcat/bin/catalina.sh start
톰캣 실행됐는지 프로세스 확인 - 실행시 뒤에 on을 붙인다.
ps -ef | grep tomcat
vi 에디터에서 방화벽 해제 - 포트 열어줄때는 여기에서!
vi /etc/sysconfig/iptables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22 -j ACCEPT 밑에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8080 -j ACCEPT추가
데몬 다시 실행
/etc/init.d/iptables restart
윈도우 크롬에서 리눅스IP:8080 입력(톰캣 사이트 떠야함)
cd /etc
cd init.d 밑의
vi tomcat 안에
#
# startup script for Tomcat for HMO
#
# chkconfig: 35 85 35
# description: Start Tomcat
#
# processname: tomcat
#
# Source function library.
. /etc/rc.d/init.d/functions
export JAVA_HOME=/usr/local/douzone/jdk
export CLASSPATH=.:$JAVA_HOME/lib/tools.jar
export CATALINA_HOME=/usr/local/douzone/tomcat
export PATH=$PATH:$JAVA_HOME/bin
case "$1" in
start)
echo -n "Starting tomcat: "
daemon /usr/local/douzone/tomcat/bin/startup.sh
touch /var/lock/subsys/tomcat
echo
;;
stop)
echo -n "Shutting down tomcat: "
daemon /usr/local/douzone/tomcat/bin/shutdown.sh
rm -f /var/lock/subsys/tomcat
echo
;;
restart)
$0 stop
sleep 2
$0 start
;;
*)
echo "Usage: $0 {start|stop|restart}"
exit 1
esac
exit 0
#
#
붙여넣기
linux에서 chkconfig --level 2345 tomcat on - 강제로 켜준다(다음부터 켤때 같이켜진다?)- 보충
chmod 755 tomcat
sync 3번
shutdown -r now
ssh webmaster@리눅스IP 접속 후 윈도우 크롬에서 리눅스IP:8080 입력
톰캣 자동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- 이거 했을시에 어떻게 구분하는지
ps -ef | grep tomcat
------------------------ 이클립스에서 war파일 추가하기
이클립스에서 helloweb -> export -> war -> d드라이버
xshell에서
d:
dir
sftp webmaster@리눅스 IP
접속후
put helloweb.war
quit
Xshell에서 root로
cd /home/webmaster
파일 이동
mv helloweb.war /usr/local/douzone/tomcat/webapps/
윈도우에서 실행
linuxIp:8080/helloweb/hello.jsp
- DB 방화벽 설정 -
제어판 -> 시스템 및 보안 -> 윈도우 디펜더 방화벽 -> 고급설정 -> 새규칙(포트) -> TCP /3306 -> 연결허용 -> 다 OK -> 이름: mysql
Xshell
yum install telnet
telnet 218.39.221.윈도우IP 3306
윈도우
http://리눅스IP:8080/manager/html 이동 -> 403 에러나면 정상
02.TDD_CI.ppt 14페이지에 있는 내용 복사
Xshell에서 경로 이동
cd /usr/local/douzone/tomcat
cd conf
vi 에디터 실행
vi tomcat-users.xml
-->
여기에
| <role rolename="manager"/> <role rolename="manager-gui" /> <role rolename="manager-script" /> <role rolename="manager-jmx" /> <role rolename="manager-status" /> <role rolename="admin"/> <user username="admin" password="manager" roles="admin,manager,manager-gui, manager-script, manager-jmx, manager-status"/> | cs |
</tomcat-users> 위에 추가
톰캣 재실행
/etc/init.d/tomcat stop
/etc/init.d/tomcat start
telnet 218.39.221.윈도우IP 3306 -> Manager App -> 에러...뜸
conf로 이동
cd ..
cd webapps/
cd manager/
cd META-INF/
vi context.xml
Valve 주석으로 막음
/etc/init.d/tomcat stop
/etc/init.d/tomcat start
윈도우
http://리눅스IP:8080/ -> Manager App
이름(admin) 비번(manager) 입력 -> 403 안뜨면 완료
이름 비번 바꾸고 싶으면
vi tomcat-users.xml
에서 user username="원하는 ID" passowrd="원하는 비번"
설정하고 톰캣 재실행하면 됨
<-- 포트 변경 방법(변경 안할거면 생략해도 됨) -->
cd /usr/local/douzone/tomcat
cd conf
포트 변경
vi server.xml
vi 에디터에서 포트 변경
vi /etc/sysconfig/iptables
데몬 다시 실행
/etc/init.d/iptables restart
서버 다시 실행
shutdown -r now
ssh webmaster@218.39.221.77
ps -ef | grep sshd
ps -ef | grep tomcat
<-- 포트 변경 방법(끝) -->